사소한것들의 역사75 '잠은 함께 자는 것이었다?' 침대를 통해 본 프라이버시의 탄생 우리는 하루의 고단함을 내려놓고 침대에 누워 편히 쉬는 게 일상이 되었습니다. 외부의 소음과 시선으로부터 완벽하게 차단된, 세상에서 가장 안전하고 사적인 공간. 저에게 침대는 온전히 '나' 자신으로 돌아갈 수 있는 마지막 보루와도 같은 곳입니다.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인류는 언제부터 이렇게 혼자, 혹은 가장 가까운 사람과만 이 내밀한 공간을 공유하게 된 걸까요? 이 궁금증을 풀기 위해 저는 필리프 아리에스와 조르주 뒤비가 엮은 명저 『사생활의 역사(A History of Private Life)』를 찾아보았습니다. 그리고 저는 책장을 넘길수록, 제가 당연하게 여기던 '프라이버시'라는 개념이 사실은 그리 오래되지 않은 '발명품'이라는 사실에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지금부터 저의 이 작은 호기심에서.. 2025. 7. 27. 인류의 지적 수명을 2배로 늘린 위대한 발명품, 안경의 모든 것 잠들기 전 침대에 누워 책을 읽다가 저도 모르게 팔을 쭉 뻗고 있는 제 자신을 발견했습니다. 언제부턴가 가까이 있는 글씨가 흐릿하게 보이기 시작한 것입니다. '나도 이제 노안이 시작되는구나' 하는 씁쓸한 생각과 함께, 저는 문득 궁금해졌습니다. 만약 지금처럼 안경이 없었다면, 저는 이제 이 소소한 독서의 즐거움을 포기해야만 했을까요? 이 작은 궁금증은 꼬리에 꼬리를 물었고, 저는 인류의 지성사를 다룬 제임스 버크의 다큐멘터리 의 한 장면을 떠올리며 자료를 찾아보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저는 제가 마주한 이 '노안'이라는 지극히 개인적인 문제가, 과거 인류에게는 지식과 단절되는 거대한 장벽이었으며, 안경이라는 위대한 발명품이 그 장벽을 무너뜨리고 인류의 지적 수명을 두 배로 늘렸다는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되.. 2025. 7. 27. '악마의 도구'라 불렸던 식기, 포크는 어떻게 식탁을 정복했나 우리는 식탁에 앉아 너무나 자연스럽게 포크를 집어 듭니다. 샐러드를 찍고, 파스타를 돌돌 말아 올리고, 스테이크를 잘라 입으로 가져갑니다. 나이프, 스푼과 함께 식사의 삼위일체를 이루는 이 뾰족한 도구 없는 식사는 이제 상상하기 어렵습니다. '우리는 언제부터 이 뾰족한 도구를 이렇게 당연하게 사용하게 된 걸까?' 이 질문은 꽤 오랫동안 제 머릿속을 맴돌았습니다. 이 궁금증을 풀기 위해 저는 식문화의 역사를 다룬 비 윌슨의 책 『포크를 생각하다(Consider the Fork)』의 관련 부분을 찾아 읽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저는 책장을 넘길수록, 제가 알던 상식이 완전히 뒤집히는 경험을 해야 했습니다. 제가 아무렇지 않게 파스타를 말아 올리던 이 포크가, 한때는 신에 대한 모독이자 남성성을 위협하는 '악.. 2025. 7. 27. 아름다움을 위한 고통의 도구, 코르셋이 옥죄었던 여성의 몸과 정신 역사 속 여성들의 초상화를 보면, 비현실적으로 가느다란 허리와 풍만한 가슴, 곧게 뻗은 상체를 공통적으로 발견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인간의 몸이 이토록 완벽한 '모래시계' 형태를 가질 수 있었을까요? 그 비밀은 드레스 안에 숨겨진 보이지 않는 갑옷, 바로 코르셋(Corset)에 있습니다. 수백 년간 서양 여성들의 몸을 지배했던 코르셋은 당대 최고의 아름다움을 완성하는 필수품이자, 여성이라면 마땅히 갖춰야 할 미덕의 상징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완벽한 실루엣의 이면에는 숨 막히는 고통과 뒤틀린 장기, 그리고 여성의 자유로운 활동을 억압했던 잔혹한 역사가 숨어있습니다. 어떻게 이 아찔한 고통의 도구가 그토록 오랫동안 여성들의 열망의 대상이 될 수 있었을까요? 이 궁금증을 풀기 위해 저는 예전에 인상 깊게 보.. 2025. 7. 27. 왜 여성의 옷에는 주머니가 없었을까? 주머니가 말해주는 권력의 역사 얼마 전, 새로 산 재킷을 입고 외출했다가 무심코 손을 주머니에 넣으려다 당황한 경험이 있습니다. 분명 주머니처럼 보이는 디자인인데, 손을 넣어보니 얕거나 아예 바느질로 막혀있는 '가짜 주머니'였기 때문입니다. 누구나 아마 한 번쯤은 겪어보셨을 이 사소한 불편함. 저는 문득 궁금해졌습니다. "왜 유독 여성복에는 주머니가 없거나 이렇게 장식용으로만 달려 있을까?" 이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 저는 최근에 본 BBC의 패션 다큐멘터리 를 다시 돌려보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저는 이 작은 주머니의 유무가 단순한 디자인의 문제가 아니라, 수백 년에 걸친 남성과 여성의 사회적 지위, 경제적 독립, 그리고 자유에 대한 거대한 역사를 담고 있다는 사실에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지금부터 저의 이 작은 호기심에서 시작된,.. 2025. 7. 27. 원래 남성 군인을 위해 발명되었다? 하이힐의 놀라운 젠더 역사 중요한 모임이 있는 날은 평소보다 높은 굽의 하이힐을 신고 집을 나섭니다. 평소보다 높아진 눈높이와 높아진 눈높이만큼 자신감 또한 올라가는 가는 기분을 느낍니다. 날렵한 곡선, 아찔한 높이. 하이힐은 오늘날 여성성과 관능미, 그리고 때로는 프로페셔널한 권위를 상징하는 가장 강력한 패션 아이템 중 하나입니다. 수많은 여성이 하이힐을 신으며 느끼는 고통을 감수하면서까지 그 특별한 실루엣이 주는 자신감을 사랑합니다. 그런데 만약 이 지극히 여성적인 물건이 본래 말을 탄 남성 군인들이 전투력을 높이기 위해 신던 실용적인 '군사 장비'에서 시작되었다면 어떨까요? 어떻게 남성들의 발밑에서 시작된 굽 높은 신발이 수백 년의 시간을 거쳐 여성의 전유물이자, 젠더 논쟁의 가장 뜨거운 아이템 중 하나가 될 수 있었을까요?.. 2025. 7. 27. 이전 1 ··· 8 9 10 11 12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