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소한것들의 역사75

아시아의 생선 소스에서 미국의 상징으로, 케첩의 놀라운 변신 늦은 밤 항상 출출할 때 야식으로 감자튀김이 최고죠. 감자튀김하면 케첩을 빼먹을 수 없는데 이 새빨간 소스를 듬뿍 짜내며, 문득 이 당연한 조합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궁금해졌습니다. 햄버거, 핫도그, 감자튀김 옆에 언제나 당연하게 자리하는 이 새콤달콤한 붉은 소스, 케첩. 저에게 케첩은 그저 '미국적인 맛'의 상징일 뿐이었습니다. 이 호기심을 풀기 위해 저는 앤드루 F. 스미스의 책 케첩, 순수한 미국의 소스(Pure Ketchup: A History of America's National Condiment)』에 대한 기사를 찾아보았습니다. 그리고 저는 맛있게 먹었던 케첩의 역사를 다시 확인하게 되었고 이 지극히 미국적인 소스가 사실은 토마토 한 방울 들어가지 않은 아시아의 짭짤한 생선 소스에서 시작되.. 2025. 8. 23.
왕의 권위에서 법관의 상징으로, 가발이 말해주는 권력의 역사 얼마 전, 영국 법정을 배경으로 한 영화를 보다가 한 가지 낯선 풍경에 시선이 머물렀습니다.판사와 변호사들이 하나같이 머리에 하얗고 곱슬거리는 가발(Wig)을 쓰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현대적인 법정의 모습과 어딘가 어울리지 않는 이 어색한 가발. 저는 문득 궁금해졌습니다. "왜 저들은 저렇게 불편해 보이는 가발을 여전히 쓰고 있는 걸까?" 이 궁금증을 풀기 위해 저는 복식의 사회사를 다룬 한 다큐멘터리를 다시 찾아보았습니다. 그리고 저는 이 우스꽝스러워 보이는 가발이 사실은 고대 왕의 권위를 상징했고, 한때 유럽을 지배했으며, 마침내 법의 엄격한 권위를 상징하는 마지막 유산으로 살아남았다는 놀라운 역사를 알게 되었습니다. 지금부터 저의 이 작은 호기심에서 시작된, 가발이 걸어온 위대한 권력의 역사를 함께.. 2025. 8. 22.
바이킹의 음료에서 금주법의 적으로, 위스키에 담긴 반란의 역사 하루의 일과를 마치고 마시는 위스키 한 잔은 힘든 하루를 보상 받는 기분을 느끼게 해줍니다. 호박색 액체가 담긴 잔을 천천히 흔들자, 오크통의 깊은 향이 피어올랐습니다. 문득 이 독하고 강렬한 술이, 사실은 '생명의 물'이라 불리던 약이었고, 수백 년간 권력에 저항하는 '반란의 상징'이었다는 사실이 떠올랐습니다. 이 궁금증을 풀기 위해 저는 위스키의 역사를 다룬 한 다큐멘터리를 다시 찾아보았습니다. 그리고 저는 제가 마시는 이 위스키 한 잔에, 척박한 땅을 일구던 켈트족의 영혼과, 금주법 시대 밀주업자들의 위험한 용기가 함께 녹아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지금부터 저의 이 작은 호기심에서 시작된, 위스키의 뜨거운 반란의 역사를 함께 따라가 보겠습니다.목차'생명의 물', 수도원의 약에서 농부의 술로세금과의.. 2025. 8. 21.
아이디어를 소유한다는 발상, 저작권은 어떻게 창작의 엔진이 되었나 우리는 좋아하는 가수의 음악을 스트리밍 하고, 영화를 결제해서 보며, 책을 사서 읽습니다. 이 모든 행위의 이면에는 '창작물은 만든 사람의 것'이라는 당연한 약속, 바로 저작권(Copyright)이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인류 역사 대부분의 시간 동안, 아이디어나 이야기는 공기처럼 모두의 것이었고, '창작물을 소유한다'는 개념 자체가 존재하지 않았다면 어떨까요? 어떻게 이 눈에 보이지 않는 '아이디어에 대한 소유권'이라는 개념이 탄생하여, 작가와 예술가들이 창작만으로 살아갈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고, 현대 문화 산업의 가장 중요한 엔진이 될 수 있었을까요? 지금부터 인쇄술의 발명과 함께 시작된 저작권의 역사와 철학, 그리고 오늘날의 의미를 인문학적 시선으로 돌아봅니다.저작권 이전의 시대, 후원과 모방의 .. 2025. 8. 21.
죽음의 집에서 치료의 공간으로, 병원은 어떻게 신뢰를 얻게 되었나 얼마 전, 가벼운 감기몸살로 동네 병원을 찾았습니다. 의사의 진찰을 받고, 처방전을 받아 약을 지어먹으니 며칠 만에 금세 몸이 가뿐해졌습니다. 우리는 몸이 아프면 병원을 찾고, 그곳에서 과학적인 치료를 통해 건강을 되찾을 수 있다고 굳게 믿습니다. 문득 이 당연한 신뢰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궁금해졌습니다. 이 호기심을 풀기 위해 저는 로이 포터의 방대한 의학사 저서 『인류 최대의 재앙, 질병의 역사(The Greatest Benefit to Mankind)』를 펼쳐보았습니다. 그리고 저는 책장을 넘길수록, 제가 알던 병원의 이미지가 완전히 무너지는 것을 경험했습니다. 오늘날 희망의 공간인 병원이, 사실은 가난한 자들이 죽음을 맞이하러 가던 절망의 공간이었다는 사실을 말입니다. 지금부터 병원이 어떻게 '.. 2025. 8. 20.
호기심의 방에서 공공의 지식으로, 박물관의 탄생과 진화 우리는 주말이면 아이의 손을 잡고, 혹은 연인과 함께 박물관(Museum)을 찾습니다. 고대 유물의 신비로움에 감탄하고, 위대한 예술 작품 앞에서 사색에 잠기며, 과학의 원리를 체험합니다. 오늘날 우리에게 박물관은 누구나 자유롭게 방문하여 인류의 유산을 배우고 즐길 수 있는 '공공의 지식'을 위한 공간입니다. 하지만 만약 이 거대한 지식의 전당이, 본래 왕과 귀족들이 자신의 부와 권력을 과시하기 위해 온갖 기이한 물건들을 모아두었던 비밀스러운 '호기심의 방'에서 시작되었다면 어떨까요? 어떻게 소수의 특권층만이 엿볼 수 있었던 사적인 컬렉션이, 모든 시민에게 열린 민주적인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었을까요? 지금부터 인류가 세상을 수집하고, 분류하고, 마침내 공유하게 되기까지, 박물관이 걸어온 위대한 진화의 .. 2025. 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