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80 부자의 과시품에서 남녀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작은 단추의 사회학 오늘 아침, 늘 그렇듯 블라우스를 입으며 무심코 단추를 잠그다 문득 이상한 점을 발견했습니다. 제 블라우스의 단추는 왼쪽에 달려있는데 남편의 셔츠 단추는 오른쪽에 달려 있었습니다. 너무나 익숙하고 사소한 이 행위 속에서, 우리는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을 거의 인지하지 못합니다. 바로 남성복의 단추는 오른쪽에, 여성복의 단추는 왼쪽에 달려있다는 점입니다. 왜 이런 차이가 생긴 것일까요? 단순히 우연의 일치일까요? 놀랍게도 이 작은 단추의 위치 차이 속에는 수백 년에 걸친 계급, 부, 그리고 성 역할에 대한 사회적 코드가 숨겨져 있습니다. 강민지 작가의 『패션의 탄생』의 한 부분을 떠올리며 책을 펼쳐보았습니다. 그리고 저는 이 작은 단추의 위치 차이 속에 수백 년에 걸친 계급, 부, 그리고 성 역할에 대한 .. 2025. 7. 26. 광부의 작업복에서 반항의 상징으로, 청바지는 어떻게 시대를 입었나 얼마 전 옷장을 정리하다, 닳고 해어져 색이 바랜 낡은 청바지 한 벌을 발견했습니다. 버릴까 잠시 망설였지만, 이내 그럴 수 없었습니다. 이 청바지에는 저의 20대의 수많은 여행과 추억이 고스란히 담겨 있었기 때문입니다. 문득 이 질기고 편안한 푸른 옷이 언제부터 우리 곁에 있었는지 궁금해졌습니다. 이 호기심을 풀기 위해 저는 얼마 전 인상 깊게 본 패션 다큐멘터리 를 다시 찾아보았습니다. 그리고 저는 제가 알던 청바지가 그저 평범한 바지가 아니었음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제가 아끼는 이 낡은 청바지가, 사실은 거친 노동의 역사와 뜨거운 반항의 시대를 온몸으로 겪어낸, 살아있는 역사책과도 같았다는 사실을 말입니다. 지금부터 저의 이 작은 호기심에서 시작된, 청바지의 위대한 여정을 함께 따라가 보려 합니다.. 2025. 7. 26. 신의 음료에서 밸런타인데이의 상징으로, 초콜릿의 달콤쌉쌀한 변신 얼마 전, 아들에게 받은 하트 모양 상자 속 초콜릿을 하나 입에 넣었습니다. 입안 가득 퍼지는 달달함은 언제나 기분 좋은 행복감을 줍니다. 문득 이 달콤한 갈색 조각이 언제부터 '사랑'의 상징이 되었는지 궁금해졌습니다. 우리는 너무나 당연하게 밸런타인데이에 초콜릿을 주고받으니까요. 이 궁금증을 풀기 위해 소피 D. 코와 마이클 D. 코 부부가 쓴 『초콜릿(신들의 열매)』라는 책을 찾아보았습니다. 그리고 제가 알던 초콜릿의 세계가 얼마나 작은 부분이었는지 깨닫고 놀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제가 지금 맛보는 이 달콤함의 원형이, 사실은 설탕 한 톨 들어가지 않은 맵고 쓴 '신의 음료'였다는 사실을 말입니다. 지금부터 저의 이 작은 호기심에서 시작된, 초콜릿의 달콤쌉쌀한 변신의 역사를 함께 따라가 보겠습니다.. 2025. 7. 26. 월급(Salary)의 어원이 된 하얀 황금, 소금의 문명사 매달 10일, 월급날 통장에 찍힌 숫자를 보며 노동의 대가로 받는 이 '월급'을 뜻하는 영어 단어 '샐러리(Salary)'에 대해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어렴풋이 이 단어가 '소금(Salt)'에서 유래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던 기억이 스쳤기 때문입니다. 제가 주방에서 요리할 때마다 한 꼬집씩 집어넣는 이 평범한 하얀 가루가, 어떻게 제 월급봉투와 연결될 수 있었을까요? 이 호기심을 참지 못하고 저는 마크 쿨란스키의 명저 『소금』을 읽어 보았습니다. 책장을 넘길수록 소금은 단순한 조미료가 아니라, 문명을 일으키고 제국을 건설하며 때로는 혁명의 도화선이 된 인류 역사의 보이지 않는 주역이었음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지금부터 저의 작은 궁금증에서 시작된, 소금의 위대하고도 짜디짠 문명사를 함께 따라가 보려 합니다.목.. 2025. 7. 26. 황금보다 비쌌던 검은 알갱이, 후추가 대항해시대를 연 방법 얼마 전, 저녁 메뉴로 두툼한 스테이크를 굽던 날이었습니다. 풍미를 더하기 위해 통후추를 그라인더로 갈아 뿌렸습니다. 주방에 퍼지는 알싸하고 익숙한 향기. 저는 문득 이 작고 검은 알갱이가 가진 강렬한 존재감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너무나도 당연하게 사용하는 이 후추는 과연 어디서부터 우리 식탁에 오르게 된 것일까요? 이 궁금증을 풀기 위해 저는 잭 터너의 『스파이스(향신료에 매혹된 사람들이 만든 욕망의 역사)』라는 책을 펼쳤습니다. 그리고 저는 첫 장부터 믿을 수 없는 사실과 마주해야 했습니다. 제가 방금 스테이크 위에 뿌린 이 평범한 향신료가, 한때는 같은 무게의 황금보다 더 비쌌고, 유럽의 제국들이 목숨을 걸고 차지하려 했던 '검은 황금'이었다는 사실을 말입니다. 지금부터 저의 이 작은.. 2025. 7. 26. 유럽을 기근에서 구하고 인구를 폭발시킨 못생긴 채소, 감자 이야기 얼마 전, 늦은 밤 출출함을 달래려 냉동실에서 감자튀김을 한 줌 꺼내 에어프라이어에 돌렸습니다. 노릇하게 익은 감자튀김을 케첩에 찍어 먹으며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흔하고 값싼 감자는 도대체 어디서 온 걸까?' 우리에게 감자는 너무나도 당연한, 때로는 값싼 식재료의 대명사처럼 여겨지니까요. 이 작은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저는 찰스 C. 만의 유명한 저서 『1493』에서 감자에 대한 부분을 다시 찾아 읽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저는 책장을 넘길수록, 제가 알던 감자의 세계가 얼마나 작았는지 깨닫고 큰 충격에 빠졌습니다. 제가 무심코 간식으로 먹던 이 못생긴 채소가, 사실은 유럽을 굶주림의 공포에서 해방시키고, 인구를 폭발시켜 산업혁명의 토대를 마련한 위대한 구원자였다는 사실을 말입니다. 지금.. 2025. 7. 26. 이전 1 ··· 10 11 12 13 14 다음